DREAM APPRECIATION AND THERAPY(꿈이해와 심리치료)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subP1.jpg
자료실

DREAM APPRECIATION AND THERAPY(꿈이해와 심리치료)

참자기 2014-01-22 (수) 12:57 10년전  
17. Dream Appreciation and Therapy
Montague Ullman, MD, "Appreciating Dreams" a Group Approach, Cosimo-0n-Demand, New York, 2006 / 번역: 신원일
 
17. 꿈 이해와 심리치료
 
필자는 필자에 의해 기술된 그룹작업 (group work), 정규 심리치료의 꿈 사용과 구별하기 위해, 꿈 이해 (dream appreciation)로 언급할 것이다. '심리치료 (therapeutic)'라는 단어의 사용에는 약간의 혼란이 존재한다. 꿈을 통한 경험적 그룹작업은 심리치료적이지만, 용어의 형식적이거나 기술적인 의미에서는 심리치료가 아니다. 형식적이거나 기술적인 의미의 심리치료는 심리치료사-내담자 관계와, 이론적 지식 체계의 적용, 그리고 내담자에 의해 제시된 삶의 문제들을 노출시키고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기법들의 존재를 암시한다. 내담자는 이러한 이론과 기법의 작업을 알지 못한 채 따른다. 자기 노출은 한 방향으로, 즉 내담자로부터 심리치료사로 흐른다. 그러한 정도까지 그 과정은 위계적이다.
 
그러한 일방성 (onesidedness)은 내담자의 반응을 자극하며, 결과적으로 그 반응이 분석된다. 예를 들어 심리치료사는 일정한 권위를 가지고 있으며, 내담자에 의해 권위자로 여겨진다. 이러한 특징은 상담 초기에 견고하게 확립된 권위에 대한 태도들 예를 들어 적대감, 의존성, 자기비하, 아첨 - 를 이끌어낸다. 이러한 태도들은 자주 심리치료사에 대한 꿈의 제시를 동반하며, 내담자의 방어 즉, 권위적 인간과의 안전한 관계를 확립하려는 그만의 독특한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차이점과 유사점
 
꿈 이해 그룹에서 우리는 리더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꿈의 공유 및 개인적 투영의 제공에 참여하는 수평적 과정을 다룬다. 어느 누구도 심리치료사의 역할과 책임을 맡지 않으며, 관련된 모든 사람들은 모든 움직임에 대한 근거를 이해한다. 심지어 훈련된 전문가들에 의해 주도되는 그룹에서조차, 일단 리더가 그 자신의 꿈을 공유하기 시작하면, 권위자로서 리더의 감각은 크게 변형된다. 더 나아가, 그 과정의 각 단계에서 리더가 그룹의 동료로 참여하는 방식이 그룹에 의해 목격되면서, 권위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방어는 소멸된다. 그룹의 진정한 리더가 꿈꾸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된다. 이러한 과정의 통제는 그의 손에 달려 있다. 그는 자신의 마음 속에 일어나는 모든 것을 공유할 의무를 가지지 않는다. 만약 그가 안전하다고 느끼면, 그의 호기심은 그를, 그가 가고자 하는 한 멀리까지 데려갈 것이다.
 
방어의 속박에서 벗어남은 그에게, 방어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감정을 시험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한다. 개방성의 증가는 성공적인 꿈 작업의 전형적 특징이다. 견고한 기능장애적 행동 특성은 불가사의하게 해체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되는 자유의 증가 속에서 변형되기 시작한다. 우리가 그룹 꿈 작업에서 방어 구축적 요소를 해체시키는 방식은, 일군의 사람들이 똑같이 발가벗은 채 수영을 하는 경험과 같다. 우리는 밖으로 나갈 때 옷을 다시 입지만, 신선해진 느낌을 받는다. 여기서의 느낌은 모두가 함께 있다는 감정으로서, 일반적인 심리치료의 전문가-내담자 관계와 대조되는 일종의 동등한 파트너쉽이다.
 
그룹은 참여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그가 발견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사고를 제공하며, 내적 관찰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그러한 내적 영역으로 들어가는 열쇠는 결코 꿈꾸는 사람의 손을 떠나지 않는다. 그룹이 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은, 일단 그가 그 열쇠를 사용하기 위한 용기를 가지면 발견할 수 있는 보물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다. 꿈꾸는 사람이 이 과정에 더 몰입할수록, 호기심과 방어 간의 균형은 전자를 더 선호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에 반해 심리치료사는 꿈 그룹의 지원자들이 상호간에 맺는 것과 다른 관계를, 꿈꾸는 사람과 맺는다. 심리치료사는 내담자로 하여금 변화를 위한 분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정신병리학과 심리치료에 대한 자신의 전문지식에 집중해야 한다. 그의 심리치료방식은 정밀한 탐색의 대상이 되는 대인적 영역을 설정한다. 꿈 이해에서 우리는 서로 간의 상호작용에서 모든 참여자들 (꿈꾸는 사람을 포함함)과 리더에 의해 설정된 영역을 조사하지 않는다. 그러한 작업은 꿈이 그룹 심리치료의 맥락에서 수행될 때에 가능하다. 그룹 심리치료사는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복잡한 대인적 영역을 다룬다.
 
꿈 그룹의 사례에서 초점은 오직 꿈꾸는 사람의 대인적 영역에만 맞추어진다. 그 작업의 과정에서 타인들이 경험하는 어떠한 개인적 반응도 그룹의 주요 관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에 의해 관리된다. 참여자들은 꿈꾸는 사람의 처분에 따라 일종의 보조적 힘으로 등장한다.
 
꿈에 대한 작업에서 심리치료사의 과제는, 우리가 꿈 이해 그룹에서 수행하는 것 여기서 우리는 꿈꾸는 사람의 깨어 있을 때 관점과, 꿈에서 제시되는 관점 간의 갭을 메우기 위해 꿈꾸는 사람의 꿈 (또는 그룹과 공유된 앞선 꿈)에 대한 연상만을 다룬다 - 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심리치료사는 꿈의 연상적 맥락보다 훨씬 더 많은 맥락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심리치료사는 자신이 관찰하는 내담자의 명백한 행동 및 내담자의 과거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한다. 그는 자신과 내담자 간의 관계에서 합리적인 요소와 불합리적인 요소를 염두에 두고, 꿈과 관련하여 명백하게 드러날 수 있는 내담자의 모든 저항에 관심을 가진다.
 
꿈 그룹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꿈에 대한 관심과 자신들의 꿈으로부터 더 많을 것을 얻으려는 진지함 때문에 이 그룹에 참여한다)에서 진행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꿈을 심리치료사에게 제공하기 위한 내담자의 동기는 꿈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에 대한 진정한 관심의 발로가 결코 아니다. 내담자는 두 전선에서 벌어지는 전투에 참여한다. 그는 자기 제한적이거나 파괴적인 행동을 변화시키고자 하지만, 그와 동시에 그의 성격적 조건의 전체적 무게가 예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속 작용함으로써 변화를 피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성향은 저항 (resistance)으로 알려져 있으며[i], 꿈과 관련하여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발현된다. 이러한 성향을 의식하지 못한 채, 내담자는 심리치료사의 환심을 사기 위한 선물이나, 심리치료사의 능력에 대한 적대적인 도전으로서, 또는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없는 무력감의 증거나, 전시적 보여주기로서, 꿈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다른 기만적이거나 조작적인 전략들과 연계될 수 있다. 꿈 작업의 예비 과정과 본 작업에서 이러한 종류의 저항을 인식하고 다루는 것이 바로 심리치료사의 과제이다. 저항의 본질은 자주 꿈의 내용으로 명확히 발현된다.
 
꿈꾸는 사람의 삶에 대한 지식 기반을 가지고 있는 심리치료사는 관련 지식을, 꿈꾸는 사람의 문제들 및 그 문제들을 변화시키려는 그의 분투에 상당한 정보를 제공하는 광범위한 체계 속에 편입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심리치료사가 수행하는 해석 작업은 상담 초기의 심리치료적 작업을 기반으로 하며, 그런 다음 이론적 정식을 통해 일반화된다. 예를 들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oedupus complex) 같은 프로이트의 개념들이나, 아니마 (anima)와 아니무스 (animus) 같은 융의 개념들이 그러하다.
 
내담자가 꿈을 제시할 때 시간 요소가 심리치료사에게 문제될 수 있다. 꿈을 다루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심리치료사는 꿈이 제시되는 상담 시점에 따라 내담자에 의해 부과된 시간 제한을 해결해야 한다. 내담자의 협의사항에서 다른 항목들도 꿈을 억제할 수 있다. 비록 꿈이 그 시간의 초반에 제시되어 전체 상담이 꿈에 할애되더라도, 여전히 꿈을 정확히 다루기 위한 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심리치료사들은 자주 월터 보니메 (Walter Bonime, 1982)에 의해 명명된 "표제 해석 (headline interpretations)"에 의존해야 한다. 따라서 진행 중인 심리치료 작업의 여러 측면들을 보여주기 위해 꿈의 일부 비유적 특징들이 선택된다.
 
더 나아가 유사점과 차이점을 전개하기 전에, 필자는 꿈 이해 그룹과 정규 심리치료 간의 일치점을 강조하고 싶다. 그들은 상반되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결코 상반되지도 않다. 일치할 때, 그들은 서로를 강화시켜야 한다. 심리치료에서 취급되는 꿈은 그룹에서보다 더 많은 자유시간을 가지고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비해 그룹에서 수행되는 꿈은 일대일 상황에서보다 더 심층적이면서 은밀하게 탐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심리치료에서 발생하는 어려움들 (예를 들어 역전이[ii])은 꿈이 그룹에서 수행될 때에도 명확히 드러난다. 때때로 꿈 그룹은 심리치료의 종료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지원 시스템의 목적에 기여한다.
 
이 두 접근 간에 유사점이 있다는 사실은 그렇게 놀랍지 않다. 두 접근의 공통된 특징들은 내담자에 대한 존중의 확대와, 내담자에 의해 제공되는 연상 체계에 대한 신뢰, 내담자가 인성의 무의식적 요소들과 분투할 때 그의 감정에 대한 감수성, 그리고 꿈꾸는 사람의 감정 레벨에 도달하기 위한 중요성 등이다. 필자는 이 과정에 처음으로 노출된 심리치료사들에게, 자주 이러한 유사점을 알려준다.
 
이러한 유사점과 관련하여 필자는 필자 자신에 의해 시도되었던 것이, 정신분석가로서 꿈에 대해 배웠던 모든 것을 명확히 하고 그 결과물을 그룹 환경 (, 꿈을 가지고 작업하는 방식을 타인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목표인 환경)에 적응시키는 것이었다고 주장한다. 정규 심리치료와 꿈 이해 그룹은 모두 자연적 치유 에너지의 해방과 관련이 있다. 둘 모두 무의식적 영역의 탐구를 통한 성장을 자극한다. 필자에 의해 독자적으로 설정된 과제는, 그룹 꿈 작업에 대한 참여 방식을 타인들에게 가르치기 위해, 심리치료사의 역할을 교육자적 역할로 전환시키는 것이었다.
 
꿈 작업을 촉진시키는 그룹 접근에는 독특한 특징들이 있다. 무엇보다도 꿈을 완전히 탐구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심리치료에서처럼, 꿈의 탐구 외에 시간을 선점하는 다른 항목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안전성에 구축된 특징들과 수평적 구조, 그리고 꿈꾸는 사람이 방어를 유지하기 위해 가지는 자유는, 그러한 방어를 느슨하게 하고 자아의 심층적 공유를 장려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룹의 어느 누구도 심리치료사로서 기능하지 않으며, 꿈꾸는 사람이 유지하고자 하는 방어 (저항) 레벨에 대한 어떠한 이슈도 발생하지 않는다.
 
꿈꾸는 사람에 의한 직접적 통제와, 그룹 기능을 통한 그 과정에 대한 신뢰의 결합은, 꿈 작업과 관련된 불안 레벨을 낮추는 데에 강력한 효과를 미치다. 만약 우리 자신에 대한 진리가 우리에게 불리하게 사용된다는 두려움 없이 우리가 그러한 진리와 마주할 수 있다면, 그러한 진리는 우리에게 심오한 이익을 제공할 것이다. 타인들의 관심과 지원, 상상적 자유 연기의 환경, 그리고 삶에 대한 비유적 상상을 이끌어내기 위해 그룹이 꿈꾸는 사람에게 필요한 것을 비-간섭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은, 이러한 자연적 치유 기류의 자유로운 흐름을 자극한다.
 
안전과 신뢰는 심리치료방식의 내재적 특징들이 되어야 한다. 이것은 안전의 감각을 제공하기 위해 내담자가 의존하는 기존의 성격을 노출시키고 이에 도전할 때, 신뢰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심리치료적 기회의 본질 및, 신뢰를 느낄 수 있는 내담자의 능력이 일치하는 지점에서만 가능하다. 심리치료에서 불안과 방어는 제분소를 위한 곡식이자, 작업의 주요 특징이다. 꿈 그룹에서 꿈꾸는 사람의 성격은 포위당하지 않는다. 거기에서는 놀라울 정도의 자유가 발생하는데, 일반적인 치료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는, 정신의 심오하고 고통스러운 차원이 자주 열리게 된다.
 
직업적 반응들
 
필자가 사용하는 그룹 접근이 필자의 정신분석 동료들에게 제시되었을 때, 저항과 수용을 동시에 받았다. 소수의 사람들만이 그 과정상의 리더쉽 트레이닝에 관심을 가지고 끝까지 추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그들 자신의 그룹을 이끌었다. 그렇지만 대개 그들은 그 과정에 대해, 꿈 작업을 비-전문화시키는 방식으로 여겼으며, 그들의 관심 영역 외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겼다. 그들은 꿈 작업이 상담실을 벗어나 대중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심리치료 커뮤니티에서 최고의 교육을 받은 정신분석학자들이야말로 꿈에 대한 폭넓은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내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다.
 
더 직설적으로 말하면, 정신분석을 독점하는 것이 꿈 작업에 대한 그들의 암묵적인 가정인 것처럼 보였다. 정신분석 이론을 내담자의 연상이 여과되는 형판으로 이용하는 교육을 받기 때문에, 그들은 비-이론적 접근을 불편해 하고 거부한다. 꿈을 정교한 은폐 메커니즘으로 바라보는 것에 익숙한 그들은, 명백한 내용의 폭로적 힘에 강한 초점을 맞추는 기법에 애착을 보이지 않았다 (, 융의 추종자들은 예외이다)[iii].
 
필자의 생각에 따르면, 이러한 저항에는 이론적이고 과학적인 관심만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인 이슈와 사회적인 지위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신분석학자라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지나친 집착으로 인해, 꿈에 대한 편견을 제거하고 꿈에 대한 대중적 접근을 돕는다는 명분이 이러한 관심의 기반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단지 정규 심리치료 상황의 치유 기반을 확대시킬 뿐이다. 각 작업에 대한 최종의 공통된 경로는 진리에 대한 탐구이다.
 
위계적 지위에서 "하급"에 속하는 사람들 심리학자, 사회복지사, 정신병 간호사 은 꿈 작업에 대한 이러한 접근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들의 관점은 꿈꾸기를, 유기체의 자연 치유적 리소스의 고유한 일부분으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직접 실천하는" 접근을 통해, 그들은 꿈 작업의 흥미롭고 유쾌한 측면으로 들어간다. 내담자 자신에게서 묻혀 있던 리소스와 자기치유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심리치료사의 어깨를 짓누르는 무거운 책임감을 일부나마 덜어낼 뿐만 아니라, 협력적 모험을 위한 노력을 더 많이 기울이게 만든다.
 
요약을 위해, 다음에 이어지는 설명은 꿈의 심리치료적 사용을, 꿈 이해 그룹에서 취해진 접근과 비교하는 것이다. 각 접근의 제약과 이점이 제시된다. 심리치료에서 언급되는 '제약 (constraint)'이 치료의 목적을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익을 제공한다 (그룹 꿈 작업을 위해서는 불이익을 제공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제약'이란 용어는 꿈의 가장 효과적인 탐구를 제한하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심리치료 제약들
 
시간 요소: 자주 나타남, 이용될 수 있는 시간이 너무 없음; 내담자의 협의사항에서 여타 항목들이 너무나 많음
위계적 방식: 한쪽 방향으로 작동하는 꿈의 공유; 상호 자기 개방의 부족; 심리치료사의 권위적 역할이 유지됨; 꿈 작업에서 의존적 역할을 강화함
이론의 역할: 환자에게 알리지 않는 기법과 전문지식을 소유한 심리치료사가 내담자에게 권위적으로 행동함
 
꿈 이해 제약
 
그룹의 크기: 매우 사적이고 민감한 내용의 공유를 감독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꿈꾸는 사람의 지식: 꿈 작업에서 곧 있을 것에 제한되거나, 앞선 꿈들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것에 제한된다.
 
심리치료 이점들
 
일대일 방식: 더 사적인 영역을 제공한다.
꿈꾸는 사람의 지식: 심리치료사는 꿈꾸는 사람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가진다.
심리치료적 기술: 무의식적 영역의 취급에 필요한 감수성과 주의 깊게 경청하는 기술이 숙달된다.
심리치료적 기법: 정신병리학의 인식 및 취급에 맞추어진다.
 
꿈 이해 이점들
 
시간 요소: 꿈 작업을 여유롭게 추가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다; 협의사항에 다른 항목들은 없다.
그룹의 크기: 비유적 입력의 풍부한 원천
위계적이기보다 수평적인 구조: 꿈꾸는 사람이 과정을 통제함; 꿈꾸는 사람이 얼마나 멀리까지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권한을 가짐; 외부적 권위의 부재; 꿈꾸는 사람이 전문가의 역할을 수행함
상호 공유: 리더가 꿈의 공유를 포함한 과정의 모든 측면에 참여함; 구조는 전이적 긴장과 역전이적 긴장을 최소화시킴; 모든 참여자들에 의한 꿈의 공유는 심층적 레벨의 교감을 발생시킴
-이론적 접근: 숨겨진 이론적 가정이나 기술적 조작이 없음; 과정의 각 단계에 대한 근거가 모든 참여자들에게 완전히 알려짐
 
일반적으로 이 두 접근 간의 일치는, 두 접근이 동시에 진행될 때 심리치료사에 의해 인식된다.
 

[i]  통찰력을 방해하는 방어적 책략.
[ii]  내담자에 의해 자극된 심리치료사의 반응으로서, 심리치료사의 객관성을 방해한다.
[iii]  프로이트와 융을 다루는 내 접근에 대한 더 체계적인 비교는 'Working With Dreams (Ullman & Zimmerman, 1979)에서 제공된다.


참자기 정신분석 심리치료 연구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455 강남태영데시앙루브 A동40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