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에서 대상과 대상항성성 용어사용 의미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subP1.jpg
자료실

정신분석에서 대상과 대상항성성 용어사용 의미

참자기 2013-12-17 (화) 12:39 10년전  
1. 정신분석에서 대상이란 어떤 의미로 사용하는가?
 
정신분석에서 대상(Object)란 단어는 생명체나 인간을 말하며, 조작이나 통제가 가능한 무생물이나 사물은 포함되지 않는다. 프로이트는 욕동을 분석하면서 대상과 목표를 구분한다. 예를 들면 성적인 매력을 풍기는 사람은 성적대상이고, 욕동을 일으키는 행동은 목표라고 부를 수 있다. 여기에서 욕동(drive), 독일어로 Trieb 라고 부르는 이것은 본능처럼 고정된 힘이 아니며 욕구 혹은 욕망이라는 심리적 개념보다는 더 생물학적인 힘에 가까운 개념이다. 우리나라 언어로는 적절한 어휘를 찾을 수 없기에 욕동으로 번역해서 사용하고 있다. 욕동은 마음속에서 무언가 휘몰아치는 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기는 생리적 긴장감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특정한 대상을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대상이 욕동을 충족시키지는 않는다. “대상은 욕동에서 가장 변하기 쉬운 요소이다. 그것은 원래 욕동과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충족을 가능하게 하는데 적합한 경우만 해당된다.” 이것은 욕동의 대상은 각자 어린 시절의 역사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뜻이다. 프로이트는 욕동을 만족, 즉 쾌락을 얻으려는 힘인 리비도(libido)라고 했는데 그의 글들에서 욕동과 리비도라는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했다.
 
하지만 페어베언(Fairbairn)은 리비도가 쾌락을 추구하는가? 대상을 추구하는가? 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갖으면서 인간의 생의 본능의 힘인 리비도는 궁극적으로 대상을 추구하는 것이라는 새로운 견해를 내놓는다. 이러한 이론적 개념은 정신분석이 프로이트의 그늘에서 벗어나 대상관계학파가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
 
 
2. 정신분석에서 대상항성성이란 어떤 의미로 사용하는가?
 
대상을 추구하는 대상관계는 아동기부터 점차 발달하기 시작한다. 하트만(Hartman,1952)이 처음에 대상항상성(Object constancy)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애정을 갖는 대상 이미지가 자신의 욕구와는 별개로, 안정적이고 영구적으로 정신 안에 자리 잡는 것을 말한다(Hartmann,1953). 대상항상성이 획득하기 이전에는 단지 대상은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대상” 일 뿐이다. 대상항상성을 인지적 측면에서 볼 때 대상이 없을 때도 대상의 이미지가 정신적 표상으로 지속되는 상태인 대상 연속성(대상이 계속 있다고 지각됨)상태를 말한다(Piaget,1937). 하트만은 대상항상성을 획득하려면 유아기 시절 공격적 욕동과 리비도적 욕동이 서로 간에 어느 정도 중화되어야 한다고 했다(Hartmann,1952,p.163).
 
대상항상성획득 시기에 대해서 발달이론은 조금씩 다르게 설명하고 있다. 스피츠(Spitz,1959) 는 생후6~8개월 유아가 엄마에게 낮가림을 할 때 엄마는 “리비도적 대상” 이 되었으며, 안나 프로이트(Anna Freud, 1965)는 욕구 충족과 상관없이 엄마에 대한 리비도적 투자가 보존될 때 대상항상성이 획득된다고 봤다. 스피츠와 안나 프로이트는 모두 대상에 대한 애착의 관점에서 대상항상성이 획득된다고 봤지만, 여기에서 인지적 의미는 부여되지 않았다.
 
한편, 말러(Mahler,1968)는 인지와 욕동을 결합해서 대상 항상성을 설명하고 있다. 그녀는 구강기의 양가감정이 어느 정도 해소된 생후 24~36개월에 대상항성성이 형성된다고 봤는데 대상항성성은 대상에 대한 안정적인 인지적 정신 표상을 필요로 하며 이것에 뒤이어 좋은 정서와 나쁜 정서가 통합되어야 한다고 본 것이다(Jacobson,1964; Mcdevit, 1975). 대상항성성이 획득되었을 때 엄마의 표상으로 생기는 긍정적인 감정들은 엄마가 없을 때 똑같은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한다. 이렇게 리비도적 측면이 부가된 인지적인 대상항상성은 정신 분석가들은 리비도적 대상항성성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리비도적 대상항상성이 획득되면 관계속에서 생기는 좌절경험이나 만족경험이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지속성을 갖는다(Burgner & Edgcumbe,1972).
 


참자기 정신분석 심리치료 연구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455 강남태영데시앙루브 A동40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