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정신분석에서 나르시즘 전이 > 칼럼 및 수필

본문 바로가기
subP1.jpg
칼럼 및 수필

모던정신분석에서 나르시즘 전이

참자기 2016-05-13 (금) 20:35 8년전  
모던정신분석에서 나르시즘 전이
 신원일
정신분석가, 예술치료사
  참자기 정신분석심리치료 연구소소장
  
(본 칼럼은 학술적 인용이나 배포를 금지합니다.) 
  
 1. 나르시즘이란?  What is Narcissism?
 
 

thumb_zg5lg201108110147522721.jpg

 
강의 요정과 바람의 신의 아들인 나르시소스는 아름다운 청년으로 많은 이들의 흠모와 사랑을 받습니다. 헤라여신의 시녀인 에코도 나르시소스에 사랑에 빠졌지만, 그는 다른이들에게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에코는 짝사랑으로 시름하다가 죽게되며, 에코를 사랑했던, 요정들이 나르시소스도 누군가를 사랑하지만 그 사랑이 이뤄질 수 없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기도는 이뤄져서 그는 샘물을 마시려고 하다가 물에 비친 자신과 사랑에 빠져 그 자리에서 죽게됩니다. 신들은 나르시소소의 아름다움이 사라지지 않게 하기위해 그 자리에 수선화가 피어나게 했다고 합니다.
 
  1) 나르시즘
정신분석 역사에서는 Freud(1914, 1953)가 그의 저서 “On Narcissism”에서 나르시즘을 개념화 했습니다. 나르시즘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성격발달과 정신적 역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초기에 Freud(1914, 1953)는 나르시즘에 대해서 마음의 에너지가 자신에게로 향해서 자신의 태도나 신체 등을 성적인 대상으로 취급하는 태도일차적 나르시즘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차적 나르시즘'은 자신과 외부세계를 구분하는 동시에 리비도libido가 대상에게 옮겨가면서 대상 사랑”(object-love)으로 발달하다가 대상을 사랑할 수 없게 되면, 퇴행하여 자신 정신 속에 있는 대상 이미지를 사랑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신분석 이론이 아직 생소하신 분을 위해 리비도libido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 하겠습니다. 리비도란 간단히 말해 타고난 정신 에너지, 성적 에너지를 말합니다. 유아기 시절에는 리비도가 자신에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리비도가 신체인 입술, 항문, 남근 등으로 확장되는 발달은  점차 외부대상인 사람과 관계맺을 수 있는 중요한 내적 에너지로 봤습니다. 유아기에는 보통 리비도가 자신에게 집중되어 보통 자신의 신체나 태도를 사랑합니다. 유아의 리비도가 발달해나가면서 자기 자신에서부터 외부 현실 대상을 사랑하게 되는데 이 시기는 연령적으로 3~5세 시기에 절정을 이룹니다.
 
따라서 유아가 아직 대상과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없거나 사랑할 수 없게 되는 것은 자기에 대한 사랑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나르시즘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일차적 나르시즘이 이차적 나르시즘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고착 혹은 퇴행이 일어난 것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르시즘이 고착되고 퇴행해서 리비도가 대상을 향할 수 없게 된 상태를 Freud(1953)는 병리적인 나르시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흔히들 나르시즘의 상태에 따라 자존감self esteem이 높은가, 낮은가를 말하기도 합니다. 자존감이 높다고 할 때 독립된 인격으로써 대상 사랑에 대한 좌절과 상실을 회복할 수 있으며 대상과 의미 있게 관계 맺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건강한 나르시즘을 획득했다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자존감이 낮다고 할 때는 타인에게 인정, 의존, 순응 혹은 자신에 대한 완벽성 및 타인을 사랑할 수 없는 병리적 나르시즘에 고착된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 주위에서 이렇게 자존감이 높고 낮은 사람들을 흔하게 관찰 할 수 있지만, 병리적인 나르시즘 문제에 대해서 가볍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병리적 나르시즘은 많은 정신질환을 설명하는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애도하지 못하는 우울증, 환상으로 철수 해서 살아가는 정신분열, 환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왕래하는 보더라인 그리고 이 밖에 강박, 조울, 불안증상 등 대부분 정신질환은 병리적 나르시즘의 역동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앞으로 모던정신분석에서 나르시즘이라는 용어를 말할 때 나르시즘의 병리적인 측면을 지칭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전이란?
사람은 태어난 후 성장하면서 정서적으로 중요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습니다. 전이는 과거 관계 속에서 경험한 정서, 생각, 행동의 패턴들을 현재 다른 사람들의 관계로 옮겨온 것을 말합니다. 전이가 무의식적으로 현실대상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본인은 특정한 대상인 사람이나 환경에서 왜 화가 나는지, 슬픈지, 사랑하는지, 기쁜지, 흥분되는지, 기분 나쁘거나 불안해지는지 원인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전이는 누구에게나 일상에서 항상 일어나는데 현재 지금 여기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분석에서는 환자의 전이가 분석가를 향하는데 분석가는 환자가 옮겨놓은 전이내용을 통해서 유년기 중요한 사람과의 정서적 관계가 어떠했는지를 예측 할 수 있습니다. 분석에서 환자가 전이를 일으키지 않으려는 심각한 저항을 보일 때도 있지만, 환자가 분석에 협조하기 시작하면 대부분 전이가 활성화되기 시작합니다. 전이가 활성화 되기 시작했다는 것은 환자의 퇴행regression이 적절하게 일어나 유아기 시절의 대상이나 환경에서 경험했던 정서적 내용들을 분석가에게 옮겨놓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분석에서 환자에게 카우치를 사용하거나, 분석가가 자신의 사적 정보를 말하지 않는 이유는 전이가 더 활성화되도록 돕기 위한 것입니다. 환자가 전이를 분석가에게 옮겨놓으면 환상, 정서, 생각 그리고 꿈을 통해서 전이 내용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전이의 정서적 내용은 사랑과 미움이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분석에서 긍정적인 전이, 부정적인 전이 그리고 사랑과 미움이 혼재된 양가적인 형태로 나타납니다.
 
분석이 더욱 깊게 진행되면서 분석가는 환자의 전이대상이 되어 관계가 형성됩니다. 이때의 관계는 환자가 전이를 통해 구축한 관계이므로 분석에서는 전이신경증Transference neurosis 이라고 부르는데, 전이를 통해 환자가 유아기 시절에 관계를 맺었던 대상의 관계 패턴이 재현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나르시즘 환자는 전이신경증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현실 대상과 본격적으로 관계 맺기 이전에 2~3세 시기에 일차적 혹은 이차적 나르시즘에 고착되어 현실대상과 관계 맺는데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오늘날 정신증(2~3세 이전의 나르시즘 전이)과 신경증(2~3세 이후의 대상 전이)으로 나눠서 구분합니다.
 
환자의 전이를 다루는 일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우므로 숙련된 정신분석 치료자와 작업이 필수적입니다. 환자의 전이는 분석실의 안전한 공간 안에서 분석가와의 새로운 관계경험 및 해석을 통해 더욱 성숙한 형태로 발전되어 갑니다. 이 과정을 훈습working through 과정, 치유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모던 정신분석에서 나르시즘 전이란?
What is Narcissism Transference in Modern Psychoanalysis?
 
언어를 배우기 이전의 기간인 특히 생후1~2년의 정서적 환경의 실패는 건강한 나르시즘을 획득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됩니다. 나르시즘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자기자신 혹은 자기 속에 남겨진 대상 이미지의 조각들을 사랑하고 현실대상과 관계를 맺는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프로이트는 나르시즘 전이를 일으키는 환자는 자아가 초기 유아의 상태로써 분석에 필요한 자아의 성숙성이 없기 때문에 분석가와 협조하는 치료적 동맹을 맺을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따라서 나르시즘에 고착되어버린 심각한 정신적 증상과 어려움은 치료 될 수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정신분석이 발전하면서 초기 유아의 정신활동에 대한 치료적 성과가 성취되고 임상적 이론도 발전했습니다. 특히 Hyman Sponitz(1908~2008)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치료하면서 언어를 배우기 이전에 고착되고 퇴행해버린 심각한 나르시즘적 역동에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이론과 기법들이 지금까지 모던 정신분석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심각한 나르시즘의 병리적 역동에 대한 치료는 모던 정신분석에서 특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나르시즘 특성은 유아기 시절에 고착되거나 퇴행된 당시의 자아수준과 그때 경험한 환경이나 정서적 상황에 의해 결정됩니다. , 자아의 정서적 수준이 언어를 배우기 이전에 부분적으로 멈춰진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 중심적이고 스스로를 과대하게 생각하지만 정작 남에게 찬사와 격려 위로를 바라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이것은 언어를 배우기 이전의 유아가 세상의 중심이 된 것처럼 의기양양하고 거대한 모습이 자신이라고 지각하지만 부모의 찬사를 통해 자신의 전능감과 과대함이 유지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기에, 부모의 찬사가 없으면 쉽게 무기력해지는 모습을 상상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유아가 나르시즘을 경험하며 발달하는 과정은 자신의 리비도를 현실대상으로 향해 사용하기 이전에 자기 자신을 향해 리비도를 전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이러한 나르시즘 기간을 Mahler(1968,1975)의 심리성장 발달과정으로 살펴보겠습니다. Mahler는 유아의 초기 삶에서 나르시즘적 기간인 대상과 융합상태에서 점차 대상으로부터 개별화되어 독립적인 자아가 되어가는 과정을 연구했습니다. 그의 연구에 의하면 유아의 자아는 약 36개월 안에서 자폐(0~3개월), 공생(3~5개월), 분리 개별화 단계(5~36개월)를 통과하면서 발달해 나갑니다.
 
자폐단계(The phase of nomal autism)는 자기와 대상이 구분되지 않기에 유아는 외부 대상이 없다고 경험합니다. 공생단계(The symbiotic phase)는 자기와 대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자아와 대상간의 사이는 흐릿하고 모호합니다. 이 당시 자아와 대상과의 경계는 반복적으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납니다. 이때 자아와 대상은 유아와 엄마를 말하며, 이들은 욕구들과 기쁨들로써 상호작용하는 시기입니다.
 
공생단계가 정점에 달하게 되면 분리-개별화 단계(The separation-individuation phase)와 함께, 자기와 대상은 더 날카로운 경계선을 유지합니다. 다양한 기능과 정체성을 획득한 자아가 점차 발전하면서 자기와 대상의 경계선을 안정화시키는 것입니다. 분리- 개별화 단계는 종합적인 자기나 대상으로부터 공생적인 한 덩어리라는 복잡한 성격발달의 과정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생각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나르시즘 기간의 자아의 성숙과정은 엄마라는 대상에 의해 경험되는 좌절 그리고 표현되지 않았던 공격성에 의해 어느 지점에서 왜곡은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만약 이때 유아가 엄마를 향한 분노를 갖는 것이 위험하거나 역효과가 생긴다고 결론 내리게 된다면 나르시즘 장애로 진행되게 됩니다. 유아에게 대상인 엄마나 주 양육자를 향했던 분노가 내면화internalization되면, 유아는 사라지지 않는 많은 양의 공격성과 함께 미성숙한 자아로 고착되어 버립니다. 우리는 이렇게 유아기 시절에 마음 깊이 새겨져 사라지지 않는 분노를 나르시즘적 분노라고 부릅니다. 나르시즘적 분노는 성장하면서 점점 더 커지게 됩니다. 만약 분노가 외부대상을 향하면 위험하기 때문에 당사자는 분노를 무의식적으로 억압하게 되고 자신을 공격하는 형태를 띄게 됩니다.  
 
분석치료에서 환자가 자신을 공격하는 형태로 분노를 방출하는 것 즉, 나르시즘적 방어를 자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외부 현실 뿐만 아니라 특히 전이 안에서 환자는 분석가에 의해 좌절되거나 거절된다고 경험할 때 환자는 스스로의 공격성을 억압하면서 자신을 공격하는 형태가 커집니다. 이것은 환자가 분석을 종결하고 싶은 충동으로 이끌기도 합니다. 더 이상 자신의 자아가 성장할 수 없는 과거의 환경으로 만드는 것은 자신을 향한 최고의 공격을 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분석에서 이러한 형태로 분석을 중단하고 싶은 충동을 치료파괴적 저항이라고 부릅니다.   
 
3. 결론 Concusion
 
나르시즘으로 인해 고통 받는 환자는 정체 모를 혼란스러움과 정서로 인해 힘들어 합니다. 또한 심각한 우울, 조울, 동성애, 강박, 불안과 공황, 정신분열 그리고 성격장애를 동반합니다. 현대정신분석을 습득하지 않는 가벼운 정신치료 영역에서는 이러한 나르시즘의 정신내적 역동을 모른 채 접근하기에 빈번한 오진과 치료접근에 실패하는 것을 종종 발견합니다.
 
나르시즘 전이는 언어를 배우기 이전의 정서적 내용을 분석가에게 옮겨놓는 것입니다. 그래서 분석가는 오래된 수련에도 불구하고 이성적 기능과 정서가 마비되어 환자와 함께 혼란으로 뒤 섞이는 일이 일어납니다. 모던 정신분석가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혼란에서부터 분석적 기능을 유지하며 정서적으로 생존 하기 위해 자신의 나르시즘 기간에 대한 치료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고강도의 긴 수련을 요구합니다. 분석가가 자신과 환자의 나르시즘적 분노를 편하게 경험할 수 없다면 나르시즘 치료는 분명히 실패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분석 수련생에게 나르시즘적 전이가 일어나면 분석초기에 치료관계가 발전되지 않는다는 것을 가르치고 받아들이게끔 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치료자가 환자 치료를 위해 많이 노력하고, 헌신하며 인내할수록 나르시즘 전이가 일어나 환자는 더욱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으로 변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워합니다. 
나르시즘 치료는 분석가가 얼마나 환자와 함께 정서적으로 공존할 수 있는가에 달렸습니다. 분석가는 옳고 그름, 조언, 충고나 인지적 해석보다는 환자의 나르시즘 전이 속에서 환자와 자신의 정서를 경험하며 여기에 관해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합니다. 환자는 이러한 분석가를 통해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서적 영양분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모던 정신분석가들은 나르시즘을 치료 하는데 있어서 환자가 자신의 파괴적인 공격성이 무의식적으로 자기자신으로 향하는 것을 발견해 왔습니다. 구체적으로 환자는 침묵, 우울, 자기비하, 무기력, 그 무엇도 느끼지 않기, 감정적 부인, 무의미함, 회피 등을 통해서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형태로 공격성을 배출하는 형태를 띕니다. 모던 정신분석은 환자가 자연스럽게 대상에 대한 좌절과 증오를 경험하게 하면서 나르시즘적 분노를 자신이 아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환자의 분노는 때로는 분석가를 향하게 되는데 정서적으로 실패한 양육자에 대한 분노가 전이 안에서 분석가를 향하기 때문입니다.
 
모던 정신분석의 창시자인 Sponitz 의 제자 Magolis(1981)환자가 나르시즘 전이를 하는 목적은 생의 초기 엄마와 경험한 상처에서 회복하고 성장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정의했습니다. 환자는 생의 초기부터 분석에 오기 전까지 수십년 반복적으로 외부대상과 관계에서 좌절을 이어 온 것입니다. 환자들의 나르시즘 전이 속에는 슬픔, 좌절, 혼란, 외로움, 분노 등의 정서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르시즘 병리로 향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사랑하는 부모를 보호하기 위해 자기 정신 속으로 철수 한 것입니다. 만약 부모에게 분노하고 공격한다면 관계단절 및 보복의 위험과 공포에서 연약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이기도 합니다.  


참자기 정신분석 심리치료 연구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455 강남태영데시앙루브 A동40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