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적 수준인 편집증의 주된 방어기제로써 투사(Projection)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subP1.jpg
자료실

정신병적 수준인 편집증의 주된 방어기제로써 투사(Projection)

참자기 2013-11-24 (일) 16:38 10년전  
1.  편집과 주요 방어기제인 투사(Projection)
 
투사는 자신과 세상 사이의 심리적 경계가 희미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아기가 어떤 경험이 내부에서 오는지 외부에서 오는지 구분하기 이전에는 나와 세상이 동등하다는 일반적 가정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앓이를 하는 아기의 주관적 경험을 뱃속의 무언가가 아픈 것인지, 기저귀의 압박 때문이지 원인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통증의 원인이 내부에서 시작한 것인지 외부에서 시작한 것인지 구별할 수 없는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사는 내부에서 있는 것을 바깥에서 온다고 오해하는 과정입니다.
성인이 되어서 이러한 투사를 극단적으로 사용하면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생깁니다.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인 질투, 비난, 미움 때문에 타인을 괴롭히는 형태로 외부 사람에게 투사하므로 상대방은 오해받는 것에 대해서 분개해서 복수하고 싶은 마음이 생깁니다. 편집성 성격은 타인에 대한 왜곡으로 인해 자신에 대한 피해의식과 함께 바깥은 위험한 것으로 인식합니다.  성인이 이러한 방어기제를 삶에 대한 주된 대처방법으로 사용할 때, 외부와 타인에 대해서 망상적인 생각을 갖게되는 편집성(Paranoid)성격을 가졌다고 말합니다.
 
 
2. 편집성 성격 특징
 
편집성 성격조직 본질은 자기 내부의 부정적 속성들을 투사에 의해 다루는 습관입니다. 자신과 관계가 없다고 부인된 속성들은 외부의 위협으로 느껴지는데, 이러한 투사과정은 과대망상적 자기감각이 수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기고통의 근원이 외부에 있다고 보기 때문에 심한 편집적 혼란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타인에게 위험한 존재가 됩니다. 모든 사람이 투사를 하지만 편집적 사람의 투사의 바탕에는 고통에 대한 정서들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고 부정하는 욕구가 너무 크게 때문에 다른 사람의 투사작용과 전혀 다른 과정으로 느껴지는 것입니다.
 
편집적 사람들 중 화를 내고 위협을 가하는 특성을 보이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에너지는 자신을 모욕하고 창피주는 외부 사람을 물리치는데 에너지를 씁니다. 자기애적 사람은 자신의 부족함이 드러날까봐 두려워 하지만, 편집적 사람은 외부 사람의 악의를 두려워합니다. 이들은 자기애적 사람과 마찬가지로 질투에 취약하지만 투사를 사용해서 다루는데 때로는 망상수준의 원한과 질투심이 자신의 삶을 혼탁하게 만듭니다. 또한 죄책감에 심하게 눌려있는데 이것도 수치심처럼 투사되는데, 만약 치료사가 자신이 나쁘다는 것을 알면 자신을 거부하거나 처벌 할 것이라는 공포 속에 삽니다.
 
정신증 수준의 편집증은 자신의 투사가 타인에게 얼마나 이상하게 보이는지 상관하지 않고 투사된 부분이 외부에 있다고 굳게 믿습니다. 경계선 수준의 편집증은 현실 검증력이 있으나 투사된 타인이 미묘하게 그런 태도를 느끼도록 자극합니다. 신경증 수준의 편집증은 투사를 하지만 자기관찰 능력이 있어서 타인과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자신의 투사를 인정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합니다(예: 종종 치료 인터뷰 때 자신을 편집적이라고 묘사하는 사람).
 
편집적 사람은 임상적으로 볼 때 성장과정에서 심한 상처와 모욕을 당한 것으로 보인다. 성장배경에는 비난, 변덕스러운 처벌, 기쁘게 할 수 없는 어른, 지독한 치욕 등의 경험이 공통적으로 등장합니다. 정신증과 경계선 편집적 사람들의 가족관계는 비난과 조롱이 가족관계를 지배했거나, 가족들이 싫어하는 속성인 ‘나약함’이라는 투사대상이 되어 가족의 희생양이 된 배경에서 나타나는 반면, 신경증적 편집적 사람들은 따뜻하고 안정된 면과 조롱과 놀리는 면이 공존하는 가족배경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편집적인 사람의 과대망상은 자신에게 무거운 죄책감을 지니고 살아갑니다. 자신의 내적 고통을 투사하기에 자신은 잘못이 없는 사람이 되기 때문에 무언가 잘 못된 일을 저지르면 그것이 발각되고 벌 받을까 봐 노심초사합니다.
 
 
3. DSM에 의한 망상장애 진단(편집증)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DSM-Ⅳ-TR)의 진단 기준에 따르면 다음의 사항들을 모두 만족시켜야 합니다.
 
1) 기괴하지 않은 망상(즉, 미행 당한다거나, 누가 독을 먹인다거나, 감염되었다거나, 멀리서 타인이 자신을 사랑
   한다거나, 배우자나 연인이 부정하다거나, 질병을 가지고 있다는 등 현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과 관련됩니다).
2) 정신분열증의 진단 기준 1)이 한 번도 충족된 적이 없어야 합니다.
   - 주의: 망상적 주제와 연관되어 환촉이나 환미가 망상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망상이나 망상에 이어지는 판단 장해에 의해 영향받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능 수준은 심하게 손상되지 않
    으며, 행동도 이상하거나 기괴하지 않습니다.
4) 망상과 동반되는 우울삽화 등의 기분장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기분 삽화, mood episode), 기분 삽화의 기간
    이 전체 망상의 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야 합니다.
5) 장애가 남용 약물, 투약 약물과 같은 물질 또는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합니다.
 
망상 장애로 진단받은 후에 다음과 같이 유형을 세분화하도록 해야 합니다. (주요 망상 주제에 근거하여 다음의 아형이 적용됩니다)
① 색정형: 보통 높은 지위에 있는 다른 사람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다고 믿는 망상
② 과대형: 확대된 가치, 힘, 지식, 정체감, 또는 신격화된 인물이나 유명인과의 특별한 관계에 대한 망상
③ 질투형: 연인이 부정하다는 망상
④ 피해형: 누군가가 (또는 친한 사람이) 악의적으로 행동한다는 망상
④ 신체형: 신체적 결함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가 있다고 생각하는 망상
⑥ 혼재형: 위의 유형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특징을 보이지만, 어느 한 가지 특징도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
⑦ 불특정형
 
참고: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DSM-Ⅳ-TR)


참자기 정신분석 심리치료 연구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455 강남태영데시앙루브 A동406호